날마다 먹는 것은 많지만 구체적으로 이 먹을거리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습니다. 누구의 수고로 먹는지는 더 말할 것도 없었고요..솔직히 농업이란 산업은 관심밖이었다고 해야 맞을 것 같습니다. 그러니 오늘(2011년 3월 23일), 이런 나의 생각을 바꿔준 현장에 다녀온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.
여러분은 식물공장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? 이제부터 제가 식물공장에 대해서 낱낱이 파헤쳐 드리겠습니다. 팍팍!!!
▶식물공장 연구동에서 무럭무럭 자라고 있는 식물들!!
식물공장? 그게 뭐에요?
왜 식물공장이 필요하나요?
그렇다면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주어 식물이 잘 자라게 만드는 일은 힘들지 않을까요, 도대체 어떤 기술이 들어있기에 작물에게 최적 조건이 만들어지는 걸까요?
Place - 장소 : 식물공장은 지역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. 남극 등의 극지, 사막, 해양, 건물 지하, 우주 등 에서도 식물공장을 운영할 수 있어서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장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.
Light - 빛 : 식물공장에서는 빛을 비추는 시간(일조시간)을 조절해서 작물의 꽃 피는 시기, 배추의 결구 등 식물의 생육을 시기에 알맞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답니다. 이번에 개관한 우리나라 식물공장 연구동에서는 태양광, LED, 형광등을 광원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. 시설비가 거의 들지 않는 태양광과 장소에 상관없이 필요한 광량, 일조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인공광의 장점이 결합된 것이지요.
▶ 전류를 흘려주면 빛을 내는 차세대 광원 반도체, LED(Light Emitting Diode) 식물공장 연구동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
Auto - 자동화 : 이번에 개관한 식물공장 연구동의 경우 모든 재배실의 광원, 양액, 온습도, CO2 등의 재배환경은 PC와 휴대폰을 이용해 모니터링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 이와 같이 식물의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시스템은 생육기간을 단축시켜주어 생산성이 3~6배까지 증대된답니다.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높아지겠지요?
Nutrient - 양분 : 식물공장에서는 토양이 아닌 영양액을 주로 이용해 양분을 공급하는데요. 영양액은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작물별 필수 영양소를 필요한 때에 요구되는 만큼 공급이 가능해 환경적,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고 당도가 뛰어난 작물 재배가 가능합니다.
▶ 검은색 호스로 양분이 공급되고 있어요 (식물공장 연구동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)
Temperature - 온도 : 온도를 조절하여 작물 생육의 최적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열대원산 작물 등 거의 모든 기후대 작물의 재배 및 수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. 더욱이 요즘은 신․재생에너지 중 태양광, 태양열, 지열 등을 유망한 열 공급원으로 연구개발하고 있어서 환경과 경제도 생각할 수 있게 되었지요.
식물 공장의 효과는 무엇인가요?
Fresh - 신선 농산물 : 식물공장은 씨뿌리기부터 수확까지 자동화되어 운영되므로 다양하고 신선한 농산물을 원하는 때에 공급이 가능하고 농약이나 기타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식물이 생산되기 때문에 안정성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
Agri-biz - 농산업 확대 : 식물공장 전용 품종 및 종자, 농기계 등 생산과 관련된 다양한 ‘전방산업’과 유비쿼터스 기술 등 IT산업, 기능성 식·약품의 대량생산 등 BT 산업, 관광 및 레저산업 등 ‘후방산업’도 동반하여 성장이 촉진된답니다.
convenience - 편리성 : 식물농장에 도입된 자동화 관련 기술 덕분은 농업 관련 작업의 편리하게 해 준답니다.
▶ 농작업을 하는 로봇과 입을 수 있는 작업용 로봇으로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. 뿐만아니라 장애인도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지요.(사진 = 일본의 식물공장)
Teach - 교육 : 도심 속 다양한 규모의 식물공장은 도시 소비자에게 식물재배와 관련된 견학, 체험,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지요.
Oasis - 삶의 질 : 아파트단지, 사회복지시설, 병원, 사무실, 빌딩에 설치된 식물공장은 도시민의 정서안정 등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답니다.
Recycle - 자연 순환 : 식물공장은 물, 배양액, 에너지 자원을 재이용하여 지구환경에 오염을 남기지 않습니다. 더욱이 이번에 농촌진흥청에서는 식물공장에서 작물이 이용하고 남은 양액을 2차에 걸쳐 살균, 소독하여 재사용하는 순환기술도 개발했다고 합니다.
Year-round - 연중생산 : 식물공장은 재배환경의 최적 관리로 연중 생산이 가능합니다.
▶ 수원시 서둔동 소재 국립농업과학원 식물공장 연구동
식물공장은 농업과 정보통신, 생명공학, 우주공학 등 융·복합기술의 결정체로서 미래의 신 성장 동력이자 기후변화와 식량난에 대비해 미래 농업과 녹색성장을 이끌어갈 차세대 농업생산기반입니다. 식물공장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계속 이루어져야하는 이유와 우리가 왜 식물공장에 관심을 가져야하는지 그 이유를 이제는 아시겠지요?
|
| |||||||
농촌진흥청의 소리에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. 도움이 되셨다면, 소중한 댓글과 |
'about LIFE > 지식창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죽을 때 후회하는 25가지 (0) | 2011.07.15 |
---|---|
이율곡의 어머니. 예술가이자 현모양처의 대명사 (0) | 2011.04.06 |
[스크랩] 냉장고를 꽉 채우면 전력소비량이 늘어나는 이유는? (0) | 2010.08.03 |
계절별 인사말 모음 (0) | 2010.07.28 |
소박하고 순수한 루소Rousseau의 아름다운 작품 (0) | 2010.07.23 |